외국인 주택 매입이 급증하는 한국. 내국인보다 규제가 느슨한 이유와 현행 법률, 통계, 문제점을 분석하고 해외 사례와 비교해 봅니다.
1. 외국인 아파트 매입, 왜 늘고 있나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외국인의 국내 주택 매입 건수는 2021년 6,142건(1조6천억 원)에서 2024년 9,121건(3조 원)으로 2배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특히 서울 고가 아파트가 집중 매입 대상이며, 강남 3구·용산·마포·성동구가 전체의 40%를 차지했습니다.
“전세가 사라지고 있다”…6·27 대책 이후 대한민국 부동산이 겪는 변화
“전세가 사라지고 있다”…6·27 대책 이후 대한민국 부동산이 겪는 변화
6·27 부동산 대책이란?1. 전세 대란 아닌 ‘전세 소멸’의 시대2. 전세의 몰락, 그 배경에는 대출 규제가 있다3. 법적·제도적 분석: 정부는 왜 전세를 제한했나?4. 향후 전망: 전세는 사라지고, 월
danggnfarm.com
2. 내국인 vs 외국인 규제 차이
(1) 내국인
- 취득세 중과: 2주택 이상 보유 시 8~12% 중과세
- 대출 규제: LTV·DTI 등 주택담보대출 한도 제한
- 분양 제한: 청약 자격·전매 제한
(2) 외국인
- 취득세: 기본 1~3% (추가 중과 없음)
- 대출 규제: 일부 은행 내부 지침 외 법적 제한 없음
- 분양 제한: 청약 불가이지만, 기존 주택·고가 아파트 현금 구매 가능
➡ 사실상 현금 부자 외국인은 내국인이 받는 규제를 대부분 피할 수 있습니다.
3. 현행 법률
외국인의 부동산 취득은 「외국인토지법」과 「부동산 거래신고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신고만 하면 가능하며, 특별한 제한이 없습니다.
다만, 군사시설 보호구역·문화재 보호구역 등 일부 지역은 취득 허가가 필요합니다.
아파트 매매계약 후 시세 급등, 매도인이 계약 해제를 요구한다면?
아파트 매매계약 후 시세 급등, 매도인이 계약 해제를 요구한다면?
매매계약금이란 무엇인가?매매계약금의 법적 성격매도인의 계약 해제 권한과 조건매수인의 대응 방안계약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결론: 신중한 대응으로 권리 지키기1. 매매계약금이란 무엇인가
danggnfarm.com
4. 국세청이 적발한 탈세 패턴
최근 국세청 조사에서 적발된 외국인 49명의 고가 아파트 취득 과정:
- 해외 페이퍼컴퍼니를 통한 소득 은닉 후 자금 반입
- 가상자산·불법 환치기 이용
- 해외 계좌 증여로 증여세 회피
- 고가 아파트 임대소득 미신고
➡ 이런 사례는 현행 제도의 허점을 보여줍니다.
5. 왜 문제인가
- 실거주 목적보다 자산 증식 수단으로 악용
- 주택 가격 상승 압력 가중
- 세수 손실 및 불평등 심화
'법적 관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빠라고 불러!’ 손녀뻘 학생에 갑질한 60대 신입생…학폭 대응은? (0) | 2025.08.03 |
---|---|
변호사 전문 분야 제도 완벽 가이드 | 전문성 있는 변호사 선택법 (0) | 2025.08.01 |
양수금과 대여금, 혼동하면 소송에서 불리해지는 이유 (0) | 2025.07.31 |
양수금 vs 대여금: 핵심 차이 정리 (0) | 2025.07.30 |
양수금이란? 개념과 양수금 소송 대응 방안 총정리 (0) | 2025.07.27 |
내 주소가 소송으로 노출? 모르는 사이 스토킹당할 수 있다! (0) | 2025.07.26 |
수습 기간 중 해고, 근로자가 취할 수 있는 5가지 대응 방법 | 부당해고 구제 절차 총정리 (0) | 2025.07.25 |
묵시적 갱신 후에도 계약갱신 요구권 행사 가능! 최신 판례로 본 임차인 필수 가이드 [2025] (0) | 2025.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