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72

텔레그램 여자아이돌 딥페이크 음란물 제작자 검거, 적용되는 처벌 규정은? 성폭력처벌법 제14조(카메라등 이용 촬영죄 및 유포죄)정보통신망법 제70조(명예훼손죄, 특히 허위사실 유포)형법상 모욕죄 또는 명예훼손죄아동·청소년 성착취물 제작·배포(아청법 제11조)정보통신망법상 음란물 유포죄(제44조의7)특정범죄 가중처벌법(전자장비 이용죄)공범 및 방조범 처벌수사와 재판에서 고려될 사항마무리텔레그램 비공개 대화방에서 여자 아이돌, 지인 등 여성 대상 딥페이크 영상을 제작해 유포하고, 심지어 아동·청소년 성착취물까지 제작·배포한 일당이 경찰에 검거되었습니다.‘잡히지 않는다’며 활동을 이어온 범죄자들은, 결국 경찰 수사망에 모두 붙잡혔습니다.이번 사건은 디지털 성범죄, 특히 딥페이크 기술 악용과 음란물 유포, 명예훼손, 아동 성착취물 소지·배포까지 다양한 범죄가 중첩된 중대한 범죄입니다.. 2025. 4. 11.
광명시 신안산선 터널 붕괴 사고, 처벌과 배상은 어떻게 이루어질까? 책임자 처벌 가능성 – 산업안전보건법 및 형법 적용주민 대피 및 재산피해 – 민사상 손해배상 가능피해자 가족의 법적 권리마무리하며2025년 4월 11일, 광명시 신안산선 복선전철 공사 현장에서 지하터널 붕괴 사고가 발생했습니다.사고로 인해 공사 근로자 1명이 실종되고, 굴착기 기사 1명이 고립되었으며,인근 아파트 주민들에게는 긴급 대피령이 내려졌습니다.이번 사고는 단순한 공사 중단 사안을 넘어, 형사 처벌과 민사상 손해배상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1. 책임자 처벌 가능성 – 산업안전보건법 및 형법 적용공사 중 붕괴 사고가 발생한 경우, 시공사 및 하청업체, 현장소장 등 책임자에게 다음과 같은 법률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산업안전보건법 위반공사 현장에서 안전조치를 제대로 하지 않아 사고가 난 경우,사업주.. 2025. 4. 11.
내용증명, 진짜 보내야 할까? 내용증명, 꼭 보내야 할까?언제 보내는 게 좋을까?보내는 방법은?비용은 얼마나 들까?주의할 점마무리하며 “상대방에게 경고를 주고 싶은데, 그냥 문자나 카톡으로 보내면 안 되나요?”이런 고민을 해본 적 있다면, 아마 ‘내용증명’이라는 단어도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겁니다.하지만 막상 사용하려고 하면, “언제 보내야 하는지”, “보내는 게 효과가 있는지”, “비용은 얼마인지” 고민이 생기기 마련입니다.이 글에서는 내용증명의 실제 효용과 실무적인 부분을 간단하게 정리해드립니다.1. 내용증명, 꼭 보내야 할까?내용증명은 법적인 구속력이 있는 문서는 아닙니다.하지만 나중에 소송 등 분쟁이 생겼을 때 “내가 언제, 어떤 내용으로 요구를 했는지”를 증명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즉, 보내는 것만으로도 ‘심리적 압박.. 2025. 4. 11.
택시 기사 가짜 토사물 뿌려 1억 5천만원 상습공갈: 징역 10년 가능? 사건 개요: 치밀한 범죄 수법예상되는 처벌: 상습공갈로 중형 가능적용되는 법률: 다층적 범죄 구성피해자들이 할 수 있는 일결론 술에 취한 승객을 상대로 가짜 토사물을 뿌려 돈을 뜯어낸 택시 기사 A씨가 경찰에 구속 송치되며 충격을 주고 있다. 서울 종암경찰서는 10일 A씨를 상습공갈 혐의로 검찰에 넘겼다고 밝혔다. 경찰 추산에 따르면, A씨는 이 수법으로 160여 명에게서 1억 5천만 원을 갈취했다. 이 사건을 통해 예상되는 처벌과 적용 법률, 피해자들의 대응 방안을 살펴본다.   사건 개요: 치밀한 범죄 수법A씨는 만취한 승객을 골라 태운 뒤 한적한 곳에 차를 세우고, 죽, 콜라, 커피로 만든 가짜 토사물을 택시와 자신의 얼굴에 뿌렸다. 이후 “운전 중 폭행당했다”며 피해자를 협박, 형사합의금과 세차비.. 2025. 4. 10.
고3 남학생, 수업 중 게임 제지한 여교사 얼굴 폭행: 인생은 실전이다 처벌은? 게임에 빠진 학생의 폭행무너진 교권, 어디까지 추락했나법적 대응과 사회적 경고결론서울 양천구 신정동의 한 고등학교에서 믿기 힘든 폭행 사건이 터졌다. 10일 오전 10시경, 고3 남학생이 수업 중 여성 교사의 얼굴을 휴대전화로 내리쳤다. 이 충격적인 사건은 교실 안에서 벌어진, 교권이 땅에 떨어진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게임에 빠진 학생의 폭행사건은 평범한 수업 시간에서 시작됐다. 문제의 고3 학생은 교사의 강의를 무시하고 휴대전화로 게임에 몰두하고 있었다. 이를 발견한 교사가 제지하자, 학생은 불만을 터뜨리며 말다툼을 벌였다. 논쟁이 격화되자, 학생은 분노를 참지 못하고 손에 쥔 휴대전화를 흉기처럼 휘둘렀다. 휴대전화가 교사의 얼굴에 정통으로 맞으면서 교실은 순식간에 아수라장이 됐다. 이 장면은.. 2025. 4. 10.
무고죄와 명예훼손, 기성용 성폭력 의혹 소송에서 드러난 법적 쟁점 사건 경과무고죄란 무엇인가명예훼손의 경계법적 쟁점과 한계결론 축구선수 기성용(FC서울·36)의 성폭력 의혹을 둘러싼 법적 공방이 또 한 번 주목받았다. 의혹을 제기한 폭로자 A씨와 B씨가 기성용의 법률 대리인 송상엽 변호사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2심도 패소하며, 무고죄와 명예훼손의 경계가 다시 화두에 올랐다. 서울중앙지법에서는 10일, 1심과 동일하게 원고 패소 판결을 내렸다. 사건 경과A씨와 B씨는 2021년 2월, 기성용이 2000년 초등학교 시절 자신들에게 성폭력을 가했다고 주장하며 폭로했다. 이에 기성용은 의혹을 전면 부인하며 A씨와 B씨를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했고, 5억 원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 반대로 폭로자들은 기성용 측 변호사 송상엽이 자신들을 “대국민 사기극 피의자”로.. 2025. 4.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