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폭력은 단순한 장난이 아닙니다.
아이의 신체와 정신 모두를 해칠 수 있는 심각한 범죄입니다.
부모라면, 교사라면, 학생이라면 꼭 알아야 할
학교폭력의 정의, 신고 절차, 증거 수집법, 예방 방법까지
모바일에서도 한눈에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 학교폭력이란?
「학교폭력예방법」 제2조에 따르면
학교폭력은 학교 안팎에서 학생을 대상으로 한 신체·정신·재산상의 피해를 주는 모든 행위입니다.
대표 유형
- 신체 폭력: 때리기, 밀치기, 발로 차기
- 언어 폭력: 욕설, 모욕, 비난
- 사이버불링: SNS·메신저 괴롭힘
- 재산 피해: 물건 파손, 금품 갈취
- 성폭력: 성희롱, 추행, 음란물 전송 등
✅ 피해가 사소해 보여도 반드시 신고하고 기록을 남기세요.
🔹 학교폭력 대처 절차
① 학교에 신고
- 담임 선생님, 학교폭력 담당 교사, 또는 신고함에 신고 가능
- 전국 공통 학교폭력 신고 센터: 117
- 온라인 포털: 안전Dream사이트
📌 학교는 신고 접수 후 7일 이내에 학폭위 소집 의무
② 증거 제출
신고와 함께 사진, 대화내용, 진술서 등 피해 사실을 입증할 자료를 제출하세요.
③ 학폭위 조사 및 조치
- 피해자·가해자·증인 조사
- 가해자 조치: 서면 사과, 봉사활동, 전학, 퇴학 등
- 피해자 보호: 심리 상담, 학업 지원, 분리 수업 가능
🕒 처리 기간: 보통 1~2개월, 복잡한 경우 3개월 이상
④ 이의신청 또는 소송
- 결정 통지 후 15일 이내, 교육청에 이의신청 가능
- 이의신청이 기각되면 행정소송 제기 가능
📄 필요한 서류:
- 소장
- 학폭위 결정문
- 증거 자료
- 인지대 + 송달료
⑤ 형사 고소 (중대한 피해 시)
- 폭행, 성범죄, 금품 갈취 등은 경찰서에 형사 고소
- 해당 법 조항:
- 폭행: 형법 제260조
- 갈취: 형법 제347조
✅ 고소 시 진단서, 진술서, 증거자료 지참 필수
🔹 증거 수집, 이렇게 하세요
📸 피해 기록
- 사진·영상: 상처, 파손 물품, 괴롭힘 메시지 등
- 일지 작성: 날짜·장소·행동·증인 이름 기재
🗣️ 증인 진술
- 친구, 교사, 부모의 진술서 확보 (인적사항·서명 포함)
💬 사이버불링 캡처
- 카카오톡, SNS 메시지 전체 대화 흐름과 날짜 포함 캡처
- 신빙성 확보를 위해 공증도 가능 (비용 약 10~30만 원)
🏥 병원 자료
- 진단서, 상담 기록, 영수증 등 피해를 수치화할 수 있는 자료
🏫 학교 문서
- 신고서, 상담일지, 접수 확인서 등 모두 보관
🔹 주의사항
⏱️ 빠른 신고가 핵심
학교폭력은 시간이 지날수록 입증이 어려워집니다.
피해를 인지하면 즉시 기록하고, 학교에 알리세요.
🛡️ 피해자 보호 요청
학폭위 심의 중 피해자 분리 수업 요청 가능 (예: 다른 반, 다른 시간 수업)
⚖️ 무료 법률 지원
- 대한법률구조공단: www.klac.or.kr
- 교육부 피해자 지원: www.moe.go.kr
🚨 보복이 걱정될 땐?
- 가해자 접촉 금지 요청
- 학교·경찰과 연계해 보호 조치 마련 가능
🔹 예방을 위한 3가지 실천
📌 학교
- 정기적 폭력 예방 교육
- 익명 신고 시스템
- 상담 전담 인력 확대
📌 학부모
- 아이와 주기적으로 대화
- 스마트폰 사용 모니터링
- 학교 행사 적극 참여
📌 학생
- 목격 즉시 신고 (선생님·117)
- 피해자 지지와 연대
- 괴롭힘 유발 대화·행동 삼가기
✅ 실제 사례로 보는 효과적인 대처법
사례:
2024년 서울의 중학생 B양은 SNS 단톡방에서 집단 괴롭힘을 당함.
📎 증거: 카카오톡 캡처, 친구 진술서
📎 조치: 학폭위에서 가해자에 선도프로그램 명령
📎 학부모는 이의신청 후 심리상담·학습 지원 추가 확보
🔚 결론: 지금, 보호가 필요합니다
학교폭력은 피해 학생의 미래까지 위협합니다.
하지만 법과 제도를 활용하면 피해를 줄이고,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 지금 자녀가 이상 행동을 보인다면?
📍 친구가 누군가에게 괴롭힘을 당한다면?
신고하세요. 기록하세요. 그리고 믿고 기다리세요.
피해자는 보호받을 권리가 있고, 가해자는 반드시 책임을 져야 합니다.
'법적 관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3편] 스토킹 예방 수칙과 법률지원 총정리 – 실전 FAQ까지 완벽 해설 (0) | 2025.07.21 |
---|---|
[2편] 스토킹 피해자 보호법 – 스마트워치·접근금지 명령 등 실전 대응 가이드 (0) | 2025.07.20 |
[2편] 아파트 재산세 쉽게 내는 법 – 위택스, 절세 전략, 자주 묻는 질문까지 총정리 (0) | 2025.07.19 |
[1편] 스토킹처벌법 총정리 – 2025년 바뀐 스토킹 처벌 기준과 대응법 (0) | 2025.07.19 |
2025 아파트 재산세 책정 기준 및 납부 가이드 – 감면 조건부터 납부 방법까지 (0) | 2025.07.18 |
"국제결혼,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현실적인 서류·절차 가이드 (0) | 2025.07.17 |
좋은 변호사 찾는 법 - 후회 없는 선택을 위한 완벽 가이드 [2025] (0) | 2025.07.16 |
“전세가 사라지고 있다”…6·27 대책 이후 대한민국 부동산이 겪는 변화 (0) | 2025.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