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형사소송

사기죄- 개념과 처벌 기준

by orange-danggn 2025. 3. 25.
반응형

 

요즘 뉴스나 인터넷 커뮤니티를 보면 중고거래 사기, 투자사기, 보이스피싱 같은 사건이 자주 등장합니다. 돈을 빌려주고 못 받거나, 계약금을 줬는데 연락이 끊기는 일도 많죠. 이렇게 남을 속여 돈을 가로채는 행위가 바로 사기죄입니다. 사기죄는 생각보다 일상에서 흔히 발생하는 범죄이며, 법적으로도 강하게 처벌됩니다.

사기죄- 개념과 처벌 기준

1. 사기죄란?

사기죄는 거짓말이나 속임수로 남을 속여 돈이나 재산을 빼앗는 범죄입니다. 단순한 거짓말만으로는 사기죄가 되지 않고, 상대방이 속아서 실제로 재산을 넘겨야 성립됩니다.

2. 사기죄에 해당하는 사례

💰 중고거래 사기 → 물건을 판다고 해놓고 돈만 받고 잠적하는 경우
📈 투자사기 → "고수익 보장!"을 외치며 투자금을 받고 도망가는 경우
📞 보이스피싱 → 경찰·검찰을 사칭해 돈을 이체하게 만드는 경우
🏡 계약금 사기 → 부동산, 차량 계약금을 받은 후 연락 끊는 경우

이외에도 돈을 빌려주고 못 받았을 때도 경우에 따라 사기죄가 될 수 있습니다.

 

3. 사기죄의 처벌 (형법 제347조)

📌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 원 이하의 벌금
📌 피해 금액이 클수록 처벌도 무거워짐

예를 들어,
✔ 피해 금액이 500만 원 미만이면 6개월~1년 6개월 징역
✔ 피해 금액이 5천만 원 이상이면 2년 6개월~6년 징역
✔ 피해 금액이 5억 원 이상이면 최대 무기징역까지 가능

또한, 반복적인 사기, 조직적 범행, 노인·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범죄는 더욱 강하게 처벌됩니다.

4. 사기죄를 당했을 때 대처 방법

1) 경찰서나 검찰청에 고소하기

사기를 당했다면 증거(거래 내역, 문자, 녹취 등)를 모아서 고소장을 제출해야 합니다.
🚨 고소 후 경찰이 수사를 진행하며, 검찰로 사건이 넘어갈 수 있습니다.

 

2) 민사 소송으로 돈 돌려받기

사기죄로 고소해도 돈을 바로 돌려받기는 어렵습니다.
"민사 소송"을 통해 상대방에게 배상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3) 합의 가능성 체크하기

사기죄는 친고죄(고소 취하하면 무죄)가 아닙니다.
하지만 합의를 하면 형량이 줄어들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가해자가 돈을 돌려주고 합의를 요청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마무리 – 사기는 결코 가벼운 범죄가 아니다!

"돈만 돌려주면 끝 아니야?"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많지만, 사기죄는 피해 금액이 크면 징역까지 가능한 중범죄입니다. 피해를 당했다면 즉시 경찰에 신고하고, 법적인 대응을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혹시 사기 피해를 당했거나 법적 대응이 필요하다면, 증거를 꼼꼼히 준비한 후 경찰서나 변호사 상담을 받아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