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법적 관심사

2025 아파트 재산세 책정 기준 및 납부 가이드 – 감면 조건부터 납부 방법까지

by orange-danggn 2025. 7. 18.
반응형

2025년 아파트 재산세 납부 시즌이 시작됐습니다. 공시가격 기준, 감면 대상, 납부 방법, 세금 폭탄 피하는 팁까지 한눈에 확인하세요!

2025년 7월 아파트 재산세 납부 가이드 – 감면 조건부터 납부 방법까지

재산세란? 왜 7월에 납부하나요?

재산세는 매년 6월 1일 기준으로 부동산을 소유한 사람에게 부과되는 지방세입니다.
특히 주택, 토지, 건축물, 선박 등 ‘부동산 소유’에 따른 세금으로, 해당 재산의 소재지 관할 지자체에서 부과합니다.

  • 과세 기준일: 매년 6월 1일
  • 납부 시기: 7월과 9월 두 차례 분할 납부 (1기분, 2기분)

📌 즉, 6월 1일에 아파트 소유자였다면 7월부터 재산세 납부 대상자가 되는 것입니다.

아파트 재산세 계산 방식 – 공시가격과 세율

아파트 재산세는 기본적으로 **공시가격(공동주택가격)**에 따라 계산됩니다.
공시가격은 국토교통부에서 매년 3월경에 발표하며, 재산세 산정 시 다음 요소를 반영합니다:

  1. 공정시장가액비율: 60%~100% 범위로 설정
  2. 과세표준 = 공시가격 × 공정시장가액비율
  3. 세율 적용 → 재산세 부과액 산출

 

2025년 기준 아파트 재산세 세율표

과세표준 구간 세율 (일반주택) 1세대  1주택 특례
6,000만 원 이하 0.1% 0.05%
1억 5,000만 원 이하 0.15% 0.1%
3억 원 이하 0.25% 0.15%
3억 원 초과 0.4% 0.3%
 

1세대 1주택자의 경우 특별 공제를 적용받아 세율이 절반으로 낮아지는 혜택이 주어집니다.

 

재산세 납부 대상과 납부 시기

  • 1기분 재산세(주택/건축물): 7월 16일 ~ 7월 31일
  • 2기분 재산세(주택/토지): 9월 16일 ~ 9월 30일

📌 주택은 7월과 9월에 절반씩 나눠서 부과됩니다.

단, 납부세액이 20만 원 이하일 경우에는 7월에 일괄 부과되므로 확인이 필요합니다.

 

재산세 고지서 확인법 및 납부 방법

📨 고지서 확인 방법

  • 우편물로 자택에 발송
  • 전자고지 신청 시 이메일 또는 문자 수신
  • 위택스/지방세입계좌에서 직접 확인 가능

💳 납부 방법

  1. 위택스(www.wetax.go.kr) 온라인 납부
  2. 인터넷지로(giro.or.kr) 납부
  3. 가상계좌 입금 / 카드 자동이체
  4. 스마트위택스 앱으로 모바일 납부

위텍스 바로가기

재산세 감면 및 경감 조건 – 누구에게 혜택이 있나?

정부는 일정 조건을 만족하면 재산세 감면 또는 경감 혜택을 제공합니다.

감면 대상 혜택 내용
1세대 1주택자 공시가 9억 원 이하: 최대 50% 경감
고령자 (만 60세 이상) 소득요건 충족 시 일정 비율 감면
장애인 소유 주택 감면 대상 등록 시 100% 감면 가능
저소득층 / 생계급여 수급자 신청 시 지방세 일부 면제
 

📌 감면은 자동이 아니며, 지자체에 신청해야 합니다!

 

공동명의 아파트의 재산세는 어떻게 나올까?

  • 1인 단독명의: 전체 금액에 대해 부과
  • 공동명의(부부 등): 지분율대로 각자에게 부과

단, 1세대 1주택 공제 혜택은 공동명의라도 1주택 기준을 만족하면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전세·월세 세입자도 재산세를 내야 하나요?

아니요. 재산세는 소유자에게만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전세나 월세 세입자는 재산세 납부 의무가 없지만, 간혹 월세에 포함된 경우가 있으니 계약서 항목을 꼭 확인하세요.

 

체납 시 불이익 – 가산금, 압류 조치 주의

재산세 납부를 잊거나 미납할 경우 다음과 같은 불이익이 따릅니다:

  • 3% 가산금 부과
  • 매 1개월마다 0.75%씩 중가산금 누적
  • 장기 체납 시 부동산 압류 및 공매 절차 진행

📌 납기일인 7월 31일 전까지 꼭 납부해야 합니다!

반응형